노트북 터치패드 안될때
요즘엔 덩치큰 데스크탑 보다는 휴대하기 좋고 자리도 덜 차지하는 노트북을 선호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컴퓨터에는 본체 뿐만 아니라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등등 여러가지 주변기기들이 함께 구성되어야 하는데, 노트북에는 이 모든것이 하나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죠.
문제는, 이렇게 주변기기가 일체형으로 붙어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에 문제가 생기면 사용하는데 있어서 제약이 따르기도 합니다. 특히 노트북에는 키보드 아래쪽으로 "터치패드"가 있는데요, 작업 스타일에 따라 활용도가 높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터치패드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잘 안되거나 잠금해놓고 싶을때 어떻게 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터치패드 기능이 잠겨있는 경우
만약 마우스나 키보드 등 기타 다른 입력장치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터치패드만 안된다면 해당 기능이 잠겨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 다시 활성화 시켜주면 되는데요,
노트북에는 다양한 기능을 빠르게 사용 할 수 있도록 단축키화 되어있습니다. 키보드 좌측 하단에 있는 (Fn)키를 누른 상태에서 f1~12키 중 터치패드 기능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주면 on/off가 가능한데요, 제조사 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번 살펴보시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으로는 f5 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만약 fn 단축키가 없더라도 괜찮습니다. 그런 경우 설정으로 들어가시면 되는데요, 윈도우 작업표시줄 검색창에 '터치 패드'를 입력해 주시면 검색결과에 나오는 버튼을 클릭합니다.
위와같이 상태가 (끔)으로 되어있으면 (켬)상태로 전환해 주시면 됩니다.
정상적으로 작동이 된다면 커서의 속도나 제스처 별 작동 형식을 설정하거나 확인해 보시고 활용해 주시면 됩니다.
드라이버 문제- 업데이트
만약 단순히 off 상태여서 작동되지 않았던 문제가 아니라면, 현재 노트북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패드 드라이버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터치패드 설정화면에서 우측에 잇는 (추가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관련 설정이 나오는데요, 상단에 보이는 하드웨어 탭으로 이동하면 두개의 마우스가 보일 겁니다. 하나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우스 기기이고, 하나는 터치패드 입니다. 모델명은 제품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패드 선택 후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중인지 확인해 보시고, 드라이버 항목으로 가서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라면 진행해 줍니다. 이후에도 계속 안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드라이버 제거 후 재설치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부팅속도가 느릴때 해결하기 (0) | 2020.12.03 |
---|---|
windows defender 끄기 완벽하게 (0) | 2020.11.29 |
카톡 소리가 안나요 해결하기 (0) | 2020.11.21 |
고생하셨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의 차이 (2) | 2020.11.16 |
크롬 이미지가 안보일때 대처법 (0) | 2020.11.11 |
댓글